ls와 ll은 모두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지만, 출력 형식과 정보의 상세함에서 차이가 있다.
🔍 1. ls (list)
-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간단히 출력.
- 기본적으로 파일명과 디렉토리명만 보여준다.
ls
file1.txt file2.txt folder1 folder2
주요 옵션:
- -a : 숨김 파일(.으로 시작하는 파일) 포함
- -l : 상세 정보 출력 (파일 권한, 소유자, 크기 등)
- -h : 사람이 읽기 쉬운 크기로 출력 (KB, MB)
🔍 2. ll (long list)
- ls -l의 단축(alias) 명령어.
- 파일의 상세 정보(권한, 소유자, 그룹, 크기, 날짜 등)를 출력.
- 대부분의 배포판에서 ll은 ls -l --color=auto로 설정되어 있어 컬러 출력도 지원한다.
ll
-rw-r--r-- 1 user user 1024 Jan 13 10:00 file1.txt
drwxr-xr-x 2 user user 4096 Jan 12 09:00 folder1
출력 정보:
-rw-r--r-- | 파일 권한 (읽기/쓰기/실행) |
1 | 하드 링크 수 |
user | 파일 소유자 |
user | 파일 소유 그룹 |
1024 | 파일 크기 (바이트) |
Jan 13 10:00 | 마지막 수정 날짜 |
file1.txt | 파일 이름 |
💡 결론
- 간단히 파일 목록 확인 → ls
- 파일의 상세 정보 확인 → ll (ls -l)
'DevOps & Infra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entOS7]root 비밀번호 초기화 및 재설정하기 (0) | 2025.03.24 |
---|---|
[Rocky Linux]Virtual Box에 Rocky Linux 9 설치하는 방법 (0) | 2025.02.08 |
[VirtualBox]CentOS7에 VirtualBox 설치하기 (0) | 2025.02.07 |
Linux 운영체제 설치하는 방법 (0) | 2025.02.05 |
Windows에 Linux 환경 설정하기 (0) | 2025.0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