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vOps & Infra/CICD 2

[Jenkins]실제 Linux CentOS7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해서 Jenkins 설치하기

* Jenkins 개발기 테스트 흐름[개발PC] ↓ SSH로 접속[리눅스(CentOS7) PC] → Jenkins 설치 (서버에) → Git 연동 (브랜치 Push 감지) → React/Spring 빌드 자동화 → Docker 이미지 빌드 & 컨테이너 재시작   1. Putty로 내 CentOS7 PC 원격으로 접속 2. Jenkins 설치 시작  (1) Jenkins 저장소 등록sudo wget -O /etc/yum.repos.d/jenkins.repo \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reposudo rpm --import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io-2023...

DevOps & Infra/CICD 2025.03.27

[Jenkins]CI/CD 및 Jenkins에 대해서

이번에 회사를 이직하게 되면서 현 회사 개발팀의 프로젝트 체계 확립을 하는 업무의 PL로써 해야할 작업들이 굉장히 많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기존의 재래식 배포에서 CI/CD로 배포 방식을 변경하는것이었다.그에 따라서 먼저 Jenkins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고 글로 남겨보고자 한다. ✔ 기존의 배포 방식전통적인 방식 (재래식 배포 / 수동 배포 방식)개발자가 직접 npm run build, ./gradlew buildFTP로 빌드 파일 서버에 업로드서버에 들어가서 Docker 띄우거나 Tomcat 재시작→ 이건 수동, 절차 기반, 위험부담 있는 방식✔ 그럼 CI/CD는 뭐가 다를까?CI/CD는 자동화된 배포 흐름개념 설명CI (지속적 통합)코드를 Push할 때마다 자동으로 빌드 + 테스트CD (지속적 배..

DevOps & Infra/CICD 2025.03.27